데패뉴 뉴스

2025년 1월 10일 최신 패션 뉴스




2025년 1월 10일 최신 패션 뉴스


٩(✿∂‿∂✿)۶  데일리 패션 뉴스입니다.

인스타그램: @dailyfashion_news

인스타 링크: https://t.ly/gUITC 

웹사이트: dafanew.com

이메일: Hi@dafanew.com




•   Y/Project가 인수자를 찾지 못하면서 론칭 14년만에 브랜드 전개 중단을 발표했습니다. 

•   패션 기업들이 MZ 직원들이 만든 브랜드를 내놓고 있습니다. 마진율이 높고 판매 계약 만료에 따른 리스크에서 자유롭다는 것이 장점입니다.

•   최근 국내 패션업계는 글로벌 생산 환경의 불안정성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, 아웃소싱 중심의 생산 방식을 탈피하고 국산 고급 소재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. 




<국내 뉴스>


1

MZ 직원들이 만든 ‘젊은 브랜드’로 활로 찾는 패션기업


•   패션 기업들이 MZ세대가 주축이 돼 만든 신생 브랜드를 앞세워 활로를 찾고 있음

•   MZ세대 직원을 주축으로 한 브랜드를 앞다퉈 내놓는 이유는 패션과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들 눈높이에서 공략할 수 있기 때문

•   패션 기업이 내놓는 자체 브랜드는 수입 라이선스 브랜드와 달리 마진율이 높아 수익성이 좋고 판매 계약 만료에 따른 리스크에서 자유롭다는 것이 장점

•   삼성물산 패션부문: ‘샌드사운드’, ‘디 애퍼처’ ‘앙개’; LF: ‘던스트’; 한섬: ‘에센셜’, ‘바이 EQL’, 코오롱FnC: ‘아카이브앱크’ 대표적

출처: https://t.ly/aLA3I 


2

위기의 공급망 “내재화 말고는 답이 없다”


•   최근 국내 패션업계에서는 “생산을 아웃소싱으로 관리하는 시대는 끝났다”라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음; 생산 부문에서의 위험 요소가 과거보다 늘었다는 지적 존재

•  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급변한 글로벌 생산 환경과 미ㆍ중 무역 갈등 심화, 노동 조건 및 인건비 상승 등 복합적인 상황들로 인해 글로벌 의류 제조 공급망의 불안요소들이 커지고 있다는 것

•   이제는 SPA의 생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 존재; 원부자재의 소싱부터 생산 공장까지 브랜드 메이커들이 컨트롤해야 한다는 것

출처: https://t.ly/41Xuj 


3

패션 중대형사들 “국내산 고급 소재 비중 늘려라”


•   국내 패션 대형사 및 중견사들이 국산 소재 사용을 늘릴 예정

•   그동안 백화점 브랜드를 주로 전개하는 패션 대형사들은 국산 소재보다 이탈리아와 일본 등지의 수입 원단을 주로 사용

•   최근 해외 원부자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, 고환율로 원가 부담이 더 커짐에 따라 대구 산지를 중심으로 한 국내산 고급 소재 비중을 늘리기로 한 것

•   최근에는 특히 전사적으로 국산 소재 사용을 독려하는 곳들도 늘고 있음; 대구 섬유 기업들의 직거래 창구인 DMC를 통한 거래 규모도 크게 증가

출처: https://t.ly/K73N1 


4

‘리’, 올해 1,000억 브랜드 도약


•   비케이브의 캐주얼 ‘리’가 올해 메가 브랜드로 도약; 지난해 매출 850억 원, +20%

•   올해 카테고리별 상품 강화, 오프라인 사업 확대 등을 주요 사업안으로 1,050억 원의 매출 목표

•   온라인에서는 핵심 전략으로 브랜딩, 수익성 제고에 탁월한 자사몰을 육성

•   지난해는 사업 초창기 백화점을 중심으로 오픈했던 매장을 아웃렛, 쇼핑몰로 다각화하면서 채널별 균형적인 성장을 이룸

출처: https://t.ly/EoJxA 


5

잘나가는 ‘뉴발란스’와 ‘아크테릭스’ 직진출설…현재 상황은


•   ‘뉴발란스’와 ‘아크테릭스’ 등 빅 브랜드의 한국 시장 직접 진출설에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음

•   ‘뉴발란스’: 라이선스 계약 종료 시점(2025.12.31.) 다가옴; ‘아크테릭스’: 본사가 한국 시장에 대한 직접 경영 의사를 밝힌 후 별다른 진전 없음

•   이랜드의 경우, ‘뉴발란스’ 매출에서 의류 비중이 꾸준하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랜드의 기획력이 미치는 영향도 상당함

•   ‘푸마’의 직접 진출 사례 등을 되돌아봤을 때 이랜드를 배제한 직접 진출은 ‘뉴발란스’ 본사 입장에서도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

출처: https://t.ly/HKXC1  


6

CJ올리브영, 연 매출 100억 브랜드 100개... 중소·중견 K뷰티 상위권


•   CJ올리브영(이하 올리브영)은 입점 브랜드 중 올리브영에서 지난해 연매출 100억원 이상을 기록한 브랜드 수가 100개를 기록

•   연 매출 상위 10대 브랜드: ‘구달’, ‘넘버즈인’, ‘닥터지’, ‘라운드랩’, ‘롬앤’, ‘메디힐’, ‘바닐라코’, ‘어노브 클리오’, ‘토리든’ (이상 가나다순) 등

•   2013년 첫 ‘100억 브랜드’가 나온 지 10년여 만; 메디힐과 라운드랩, 토리든의 경우 올리브영 연매출이 1000억원을 넘음

출처: https://t.ly/aMtg_ 


7

골프복 시장 '찬바람'…선수 후원 종료하는 골프웨어 업계


•   '코로나 특수' 거품이 빠진 골프복 시장이 냉랭해지자 골프웨어 업계가 잇따라 선수 후원 중단

•   실제 골프웨어 매출은 코로나19 기간 호황을 누렸다가 점차 하향세

•   한세엠케이: 2024년을 끝으로 선수 후원을 하지 않기로 결정, 코오롱FnC(엘로드): 2021년 이후 후원 중단한 상태, ‘맥케이슨’, ‘톨비스트’ 등도 선수 후원을 올해부터 종료한 것으로 알려짐

출처: https://t.ly/wELvb 


8

트렌비, 이종현 대표 사임…박경훈 단독 체제 전환


•   업계에 따르면 이 대표는 지난달 트렌비를 떠난 것으로 확인; 지난 2023년 7월 공동대표로 취임한 지 1년 5개월여 만

•   이 대표의 사임에 따라 트렌비는 박경훈 대표 단독 체제로 운영

•   이 대표는 2020년 1월 최고운영책임자(COO)로 트렌비에 합류; 최고리테일책임자(CRO) 등을 거치며 중고명품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해옴

출처: https://t.ly/AH6Ux  


9

무신사, 설 앞두고 협력사 정산대금 1,130억 원 조기 지급


•   무신사는 설 명절을 앞두고 자사 플랫폼에 입점한 브랜드의 정산대금 1,130억 원을 조기 지급, 대금 지급일은 이달 17일

•   임직원 급여와 원부자재 대금 결제 등으로 비용 수요가 높아지는 설 명절을 앞두고 입점 브랜드 부담을 덜기 위해 정산 대금 조기 지급을 결정

출처: https://t.ly/n97Yu  


10

국내 팝업/협업/매장 소식: 코치 x 마뗑킴 팝업, 짐빔 x 지평 x GS25 팝업 외 다수


•   코치: ‘코치’가 1월 10일(금)~2월 2일(일) 롯데백화점 에비뉴엘 잠실점 지하 1층에서 ‘코치 x 마뗑킴 팝업’을 진행  출처: 보도자료 

•   짐빔: 짐빔이 1월 10일(금)~1월 16일(목) 더현대서울 지하 1층에서 ‘짐빔X지평XGS25 더현대 팝업’ 진행  출처: https://t.ly/mPAGv 

•   크록스: 크록스가 YG 엔터테인먼트의 보이그룹 트레저와 협업해 '트레저 x 크록스 10개 세트 지비츠 참' 한정판을 출시  출처: https://t.ly/X6iuu  

•   이탈리안패션데이즈인 코리아: 이탈리아 무역공사가 2월 11일(화)~2월 13일(목) 패션 데이즈 인 코리아(Italian Fashion Days in Korea)를 개최  출처: https://t.ly/AkH1d 


11

기타 국내 뉴스: 더네이쳐홀딩스 인사소식, 본작 25억 원 투자 유치


•   더네이쳐홀딩스의 내셔널지오그래픽 브랜드 총괄사업부장인 하기주 이사가 1월1일자로 상무로 승진  출처: https://t.ly/-qRRv 

•   뷰티 스타트업 본작(‘셀바티코' 운영)은 25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; 유진자산운용, 아주IB투자, 퓨처플레이 등이 참여  출처: https://t.ly/y0-Os 









<글로벌 뉴스> 




1

Y/Project, 브랜드 전개 중단


•   Y/Project는 론칭 14년만에 브랜드 전개 중단을 발표, 작년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인 Gilles Elalouf 사망 및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Glenn Martens 사임함

•   브랜드 매각을 추진했으나 입찰자는 홍콩 자산 관리 회사 AA Investment 한 곳 뿐이었으며, 입찰 가격이 €45,000(약 6,773만 원)에 불과해 성사 무산

출처: https://t.ly/DzKUU 


2

Fast Retailing, 1분기 매출 ¥895.1B (약 8.3조 원), +10.4%


•   Fast Retailing은 회계연도 1분기 매출 ¥895.1B (약 8.3조 원), +10.4%, 영업이익 ¥157.5B(약 1.5조 원), +7.4% 기록해 주목

•   특히 Uniqlo는 일본(+9.0%) 및 해외(+13.7%) 모두 큰 폭의 성장세 기록, GU 브랜드 매출은 3.1% 신장에 그쳤으며 기타 브랜드 매출은 2.4% 감소함

출처: https://t.ly/Y8FyE 


3

Forbes, 패션 디자이너 부호 순위 발표


•   Forbes는 패션 디자이너 부호 순위를 발표, 1위는 자산 $13B(약 19.0조 원) Giorgio Armani가 차지했으며, 2위는 $8.1B(약 11.8조 원)의 Ralph Lauren

•   Miuccia Prada($4.3B), Dolce & Gabbana($2.5B), Tom Ford($2.2B), Tory Burch($1.8B), Valentino Garavani($1.5B), Michael Kors($1.0B) 등 상위권

출처: https://t.ly/pclcf 


4

True Religion, 투자회사 Acon Investment에 인수


•   True Religion은 미국 투자회사 Acon Investment에 인수 완료, 향후에도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제품 다각화 및 지리적 확장 등을 지원할 예정

•   True Religion의 2023년 매출은 전년비 20% 증가한 $280M(약 4,091억 원) 기록, 과거 상장 기업이었으나 두 차례 파산 이후 최근 회복세 기록중임

출처: https://t.ly/PkbbZ 


5

Consortium Brand Partners, Jonathan Adler 인수 발표


•   소비재 투자회사 Consortium Brand Partners는 데코/가구/라이프스타일 브랜드 Jonathan Adler 인수 발표, American Exchange Group 공동 운영

•   향후 두 회사는 Jonathan Adler 상품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동시에 글로벌 유통 확대 예정, 설립자 Jonathan Adler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남게 됨

출처: https://t.ly/JlMqZ 


6

Abercrombie & Fitch 런던 플래그십 오픈 예정 


•   Abercrombie & Fitch, 최근 미국에서의 높은 성장세 반영하여 1월 말까지 런던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예정

•   Oxford Street 및 Covent Garden 입점  

출처: https://t.ly/N1vRv 


7

Givenchy 새로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로 Benjamin Cercio 영입


•   Givenchy는 새로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로 Benjamin Cercio 영입

•   Louis Vuitton에서 오랜 기간 근무 후 2022년 10월 Gucci 이적했으나 퇴사  

출처: https://t.ly/Ctrhs 


8

Kanye West, Adidas 및 Fear of God의 Jerry Lorenzo 강력 비판


•   Kanye West가 본인 SNS를 통해 Adidas 및 Fear of God의 Jerry Lorenzo 강력 비판 

•   Google 검색 기록 조작, 아이디어 무단 도용 등 다수 내용 포함

출처: https://t.ly/aSNYj 


9

Conde Nast 중동 에디션 직영화


•   Condé Nast는 라이선스로 전개중이던 Vogue Arabia 및 GQ Middle East를 자체 운영으로 전환 

•   Vogue는 기존 편집장 유지, GQ는 새로운 편집장 도입

출처: https://t.ly/pYL60 


10

L Catterton, Etro 지분율 확대


•   L Catterton은 몇 달 전 Etro 지분율을 60%에서 70%로 높인 것으로 확인

•   이미 Valentino/Balmain 보유한 Mayhoola로 매각 가능성 제기되고 있음

출처: https://t.ly/t9pUv 


11

Minnessak, Alpha Industries와 업사이클링 협업 전개 


•   런던 기반 액세서리 브랜드 Minnessak은 Alpha Industries와 콜라보레이션 전개

•   Alpha Industries 항공 점퍼 재고들을 가방으로 업사이클링하는 기획  

출처: https://t.ly/8UpZZ 


12

유럽 연합, 패션 산업 관련 새로운 규제 도입


•   유럽 연합(EU)은 2025년부터 패션 산업의 지속가능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규제 신규 도입, 특히 폐기 대상 제품의 수거 책임제 등 주목

•   이외 산림 파괴와 관련된 제품의 유럽 내 판매 금지, 디지털 제품 여권의 시범 도입, 기업 지속 가능성 실사 지침, 강제 노동 규제 등이 새롭게 도입

출처: https://t.ly/5d_cI 


13

글로벌 브랜드 앰버서더 소식: Dior 글로벌 앰버서더, J.Lindeberg 라이프스타일 앰버서더, Lululemon 글로벌 앰버서더 발탁


•   Dior, 파리 올림픽 테니스 금메달리스트 Zheng Qinwen을 글로벌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; 중국에서의 높은 인기 반영, 현재 전세계 테니스 랭킹 5위  출처: https://t.ly/Htn1X 

•   J.Lindeberg, 첫번째 골프 라이프스타일 앰버서더로 배우 Kathryn Newton 및 컨텐츠 크리에이터 Mia Baker 선임; 골프에 대한 열정과 스타일 갖춘 인물  출처: https://t.ly/BUi7o 

•   Lululemon, 유명 테니스 선수 Frances Tiafoe를 글로벌 앰버서더로 선정; 높은 퍼포먼스와 스타일이 조화되었다고 설명, 최근 테니스 카테고리 확장중  출처: https://t.ly/duQ4x 


14

글로벌 신규 매장/팝업/전시 소식: Gucci 글로벌 윈도우 디스플레이, Dolce & Gabbana 꾸뛰르 아카이브 전시 외 다수 


•   Gucci, 새로운 글로벌 윈도우 디스플레이 컨셉 ‘Endless Narratives’ 도입; 밀라노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첫 공개, 다양한 오브제/도서/조각 등으로 장식  출처: https://t.ly/I9mKr 

•   Dolce & Gabbana, 작년 밀란에서 선보여 주목받은 꾸뛰르 아카이브 전시 ‘From the Heart to the Hands’를 파리 Grand Palais에서 3월 말까지 개최  출처: https://t.ly/dDqkV 

•   Anya Hindmarch, 사이클링에 영감을 받은 컨셉 스토어 ‘The Village Bike’ 오픈 ; 2월 5일까지 운영, Hindmarch가 직접 수집한 바이크 컬렉션도 장식  출처: https://t.ly/119Qy 

•   Stadium Goods, 스니커즈/스트리트웨어 리테일러로 10년간 운영한 뉴욕 플래그십 스토어 폐점; 향후 온라인 채널에만 집중, 임대 계약 종료에 따름  출처: https://t.ly/ppSEb 

•   Unsaid, 주목받는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브랜드로 파리 Place Vendôme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; Pierre Paulin와 Patrick Rimoux 등 가구/조명 장식  출처: https://t.ly/0bSM- 


15

기타 글로벌 뉴스: Prada ‘Re-Nylon’ 영상 시리즈 공개, Wolford 환불 지연 이슈 외 다수 

 

•   Prada, 자연 다큐멘터리 전문 제작사 National Geographic CreativeWorks 파트너십 통해 ‘Re-Nylon’ 영상 시리즈 공개; Benedict Cumberbatch 출연  출처: https://t.ly/ZkLwq 

•   Wolford, 럭셔리 스타킹/란제리 브랜드로 배송 및 환불이 수개월 이상 지연 사례 발생하여 논란; 배송업체 변경과 물류 혼란 가중, 작년 매출 큰 폭 감소  출처: https://t.ly/8gSp1 

•   런던 주요 쇼핑 거리, 폭발물 설치 의심으로 경찰들이 작전 수행하며 혼란 발생; Savile Row 및 Regent Street 일부에서 근로자 및 소비자 대피 진행  출처: https://t.ly/qvQRg 

•   Ralph & Russo, 유명 셀러브리티가 착용했던 의상 포함 약 150점의 꾸뛰르 의상을 Bonhams 경매 통해 판매; Angelina Jolie, Nicole Kidman 의상 등  출처: https://t.ly/C_hOr 







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